본문 바로가기

digital signage

디지털 사이니지 종류

 

설치 장소에 따른 유형 분류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

 

현재 가장 흔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유형 중 하나는 건물 외벽이나 전광판에 설치된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다. 방수 처리된 대형 LCD TV에서 TV CF와 비슷한 동영상 광고나 실시간 뉴스를 다룬다. 보통 중앙관제센터의 PC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PC에서 광고 교체 명령을 내리게 된다. 쌍방향 소통과는 거리가 먼 원시적인 형태지만, 일반 옥외광고처럼 사람이 광고를 일일이 교체할 필요가 없고 보는 재미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울스퀘어의 파사드

출처 :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건물 전체를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도 이 중 하나다.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 외벽에 수천 개에서 수만 개의 LED 조명을 부착해 하나의 대형 전광판을 만들거나 벽면에 빔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사해 만든다. 압구정 갤러리아 백화점, 시청역 삼성화재빌딩, 서울역 서울스퀘어 등이 대표적이다.

 

인도어 디지털 사이니지

 

대형 쇼핑몰 내벽에 설치하거나 입간판 형태로 만든 작은 디지털 사이니지도 있다. 단순히 아웃도어 디지털 사이니지의 크기만 줄인 미니 버전인 경우가 많지만,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오스크(kiosk)를 채용해 사용자와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노리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 앞에 설치된 제휴카드 할인쿠폰 발급기나, 지하철 관련정보는 물론이고 인터넷전화까지 쓸 수 있는 지하철 디지털뷰가 여기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적용한 버스정류장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하철 역사 내부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적용 광고

 

노출 형태에 따른 유형 분류

 

단순노출형(One Way)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이 디지털로 전환된 수준으로 대표적인 매체로서는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행선안내기가 있다. 이 행선안내기는 LCD모니터로 바뀐 지하철 플랫폼의 전광판으로 지하철 도착을 알리는 안내 디스플레이 옆에서 나오는 광고, 뮤직비디오, 뉴스, 안내영상을 보며 새로운 디지털 사이니지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버스정류장에서 볼 수 있는 PDP를 이용한 광고나 버스 도착정보 화면, CGV나 이마트 등 극장이나 마트 천장에 설치된 모니터 역시 단순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다.

 

 

단순노출형 디지털 사이니지(지하철 행선안내기)

 

참여형(Interactive)

 

참여형 디지털 사이니지는 매체와 소비자간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방식이다. 대표적 매체로는 다음의 디지털뷰는 지도검색이 있다. 이벤트 참여, 실시간 뉴스검색 등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20102월 도입돼 지하철 1~4호선 120개 역사에 913개의 단말기를 설치해 지하철역이라는 공간을 통해 접근성과 노출효과를 극대화했다. 제일기획과 삼성SDS, KT 등이 참여한 강남대로의 미디어폴은 미디어 아트와 키오스크가 결합한 신개념 마케팅 매체다. 키오스크 단말기의 셀프포토 및 이벤트 참여 등으로 상호작용을 이끌어낸다.

 

참여형 디지털 사이니지(디지털뷰)

  출처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이 외에도 CGV의 클라우드는 스틸 이미지 광고와 동영상 광고, 셀프포토 등의 기능을 가진 디지털 사이니지이며, 코엑스의 코몰라이드 역시 참여형 디지털 사이니지다.

 

다양한 정보 제공, 효과적인 광고 효과

 

기존의 아날로그 광고(인쇄된 포스터)는 정지된 화면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 및 정보를 모두 전달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광고는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화면에 원하는 내용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자뿐만 아니라 영상, 소리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가미할 수도 있다.

 

포스터 광고()와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출처 : 디지털사이니지 월드 아시아 2012

탄력적인 광고, 소재의 교체 가능

디지털 사이니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즉각적인 소개 교체가 가능하고 비교적 단기간에 집행되는 광고이다. 또한 장기간 집행되는 광고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사이니지는 소재 교채에 탄력적인 대응이 어렵다.

예를 들어 그동안 스크린도어처럼 고정된 매체는 소재 교체에 그나마 대응하기 쉬웠지만 버스처럼 이동하는 매체는 소재 교체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반면 디지털 사이지는 인터넷으로 자료만 전송하며 즉시라도 소재 교체가 가능하다.

, 탄력적인 소재 교체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정보전달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 변경에 따른 비용을 감축할 수도 있다.

 

낮은 커버리지의 극복

 

디지털 사이지니는 시간, 장소, 목적별로 소비자를 타겟팅하여 정보 및 광고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다른 특징들과 연결되는 특징이다. 예를 들어 강남역 미디어 폴에서는 하루 종일 같은 영상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시간과 목적에 맞게 실시간으로 정보가 변경되고, 길가라는 장점을 살려 다양한 게임이나 이벤트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 앞에 서 있는 사람의 연령, 성병 등을 분석해서 그에 맞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경제적,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가진 기존 매체들의 낮은 커버리지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강남역 미디어폴

출처 : 미디어폴 홈페이지(www.mediapole.or.kr)

 

'digital sign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개념정리  (0) 2013.03.26